「말과 말들」은 워크룸 프레스의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새 창을 열 때마다 워크룸 프레스와 작업실유령 도서의 인용문을 출력합니다. 내려받기

플레이리스트: 음악 듣는 몸
온라인 판매처

플레이리스트: 음악 듣는 몸

김호경 지음

오늘날 스트리밍 환경에 최적화된 도구, 플레이리스트에 주목하여 동시대 음악 감상 행위를 관찰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출간되었다. ‘음악 듣는 몸’이라는 부제에서 드러나듯 이 책은 그동안 음악 예술 담론에서 중심을 차지했던 음악 작품을 잠시 옆으로 밀쳐 두고 음악을 듣는 감상자의 경험을 논의의 한가운데로 불러온다.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과연 사람들은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있으며, 그것이 지닌 함의는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누군가 선곡한 곡들의 모음이라는 뜻에서 플레이리스트의 역사는 길다. 그러나 그것이 만들어지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양상에서 현재의 플레이리스트는 과거의 그것과 전혀 다른 존재다. 오늘날의 음원 플랫폼들은 우리가 알기도 전에 우리가 좋아하는 음악을 알고, 광활한 음악의 바다에서 실패 확률이 적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그때그때의 기분과 분위기에 맞춰 가볍게 ‘둘러 입을’ 음악을 간편히 제공한다. 우리는 그저 ‘좋아요’ 혹은 ‘싫어요’를 누르며 우리의 취향을(달리 말하면 돈이 되는 정보를) 알려 주기만 하면 된다. 가령 당신이 지금 불안한 상태라면 굳이 선곡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 없이, ‘불안감을 떨쳐 주는 신나는 노래’라는 제목의 플레이리스트를 클릭하고 흘러나오는 음악에 몸을 맡기면 된다. 사실 그 플레이리스트가 어떤 곡으로 채워져 있는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한편, 이러한 기술/매체 의존적 환경에서 플레이리스트는 뜻밖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한다. 매일매일 무수히 창작되는 콘텐츠 속에서 개인의 취향과 관점을 정교하게 가다듬을 기회를 제공하며, 권위와 질서가 아닌 공유와 정동의 언어로 이뤄진 취향의 공동체를 통해 다른 이들과 함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으며, 나아가 획일화된 음악 시장에서 다양성이 서식할 자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저자는 플레이리스트를 둘러싼 음악 감상 행위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기회와 위험을 모두 직시하되 보다 넓은 의미에서 플레이리스트라는 문화 현상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하는지 살핀다.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채널에 직접 참여하여 채널 운영 방식과 사용자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애플 뮤직, 스포티파이, 멜론 등 여러 음원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일상적인 음악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저자는 미학, 음악 사회학, 매체 이론, 현상학을 경유해 음악 감상 행위를 해독하고, 매체의 역할을 재고하는 한편, 감상자의 감각 경험과 반응, 테크놀로지와 인식이 맺는 관계를 좇는다. 무엇보다도 저자는 체현된 신체로서 우리의 ‘몸’에 주목하며 여러 감각이 혼합된 새로운 차원의 ‘촉각적’ 몰입으로서 “음악 감상이 하나의 음악 작품, 그 작품이 연주 및 재생되는 다양한 조건, 청자의 능동성이 만들어 내는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둘러 입는 음악, 그 너머

저자는 음악이 “점점 감정과 느낌, 정서, 분위기, 촉각을 자극하는 무언가로 그 모습과 개념을 바꾸고 있다”고 지적하며 “음악의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감상자들은 음악 감상 행위를 마치 어떤 ‘상태’나 ‘기분’이라는 외투를 둘러 입듯 그렇게 여기며 즐기게 됐다”고 말한다. 능동성과 수동성을 함께 지닌 플레이리스트는 우리의 일상을 점점 더 많은 정보와 소리에 내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현대적 의미의 음악 감상이란 그저 데이터베이스처럼 쌓여 있는 것들을 똑같이 반복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가? 작곡가 한 명이 특정 방식으로 써낸 음악 작품은 과연 절대적인가? 음악 평론이란 지금 이대로의 방식 그대로 유효한가? 오늘날의 감상자들은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싶어할까? 상품으로서 음악의 단위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가? 현대 음악 산업은 무엇을 보고 듣고 고려하고 있을까? 그리고 너무 원론적이라 다소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현대적 의미에서 음악이란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는 이러한 질문을 바라볼 하나의 렌즈이자, 음악 분야를 넘어 현재의 기술/매체 환경이 우리와 맺는 관계를 조망할 하나의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영화를 비롯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는 물론 패션, 음식 등 모든 일상 영역에서 우리는 플레이리스트와 맞닥뜨린다. 이는 우리의 지각 경험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내용 자체를 변화시킨다. 우리가 경험하는 소리 세계, 나아가 지각 세계에 수동적으로 침묵하는 대신 그 과정을 의식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발췌

스트리밍 플랫폼의 플레이리스트는 복잡한 이해관계를 만들어 낸다. 이 세계에서는 개별 곡, 개별 앨범보다 플레이리스트가, 음악가보다 이를 편집하고 소개하는 큐레이터가 더 큰 권력을 가진다. 플랫폼과 큐레이터는 과거 음반의 소개 글이나 아트워크가 하던 일을 훨씬 적극적으로, 또 직접적으로 수행하며 소비자의 감상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맥락과 서사를 새로이 부여하며 완전히 다른 경험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활기찬 아침의 음악’, ‘퇴근길의 칠 아웃’ 같은 제목의 플레이리스트는 감상자의 미학적 판단에 꽤 많이, 혹은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21쪽)

과거 믹스테이프가 만든 이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면, 플레이리스트는 이용자 일상 속 순간에 개입하며 기분과 감정을 주입한다.(22쪽)

플레이리스트 세계는 감상자에게 자연적 환경, 즉 사유의 장, 지각의 장이 된다. 이 안에서 감상자는 따로 떨어져 관망하는 존재가 아닌 그 세계의 일부가 된다. 지각은 감상자의 육체로 매개되며 무의식을 수반한다. 즉 지각의 주체는 ‘체험하는 자아’다.(39쪽)

오늘날의 플레이리스트 감상은 상태나 상황을 규정짓는 하나의 가상 공간을 선택하는 행위, 즉 ‘수동성’을 구축하기 위한 ‘능동적 행위’라는 점에서 다른 결을 지닌다.(87쪽)

이용자들은 저마다 느끼는 매혹적인 소리 세계 안에서 낯선 이들에게 친밀감을 느끼거나 환상의 풍경을 누리는 한편, 이들의 직접적인 경험은 점점 더 대체되고 본질적인 변화는 거부된다. 즉 실제적 공간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테크놀로지를 통한 아름다운 소리 세계는 아이러니하게도 ‘연결성’과 ‘단절감’을 동전의 양면처럼 지니고 있다.(124쪽)

플레이리스트를 감상하는 동안 감상자는 과거의 기억, 현재적 감각, 상상의 차원이 뒤섞인 채로, 여기-몸과 이미지-몸을 통해 새로운 시간성 및 공간성을 체험한다.(125쪽)

오늘날의 음악 작품은 고정적 대상이 아닌 열린 텍스트로 인식하는 게 자연스럽다. 미디어 자체와 그것을 이용하는 수용자들이 심미적으로 의미 있는 소리 변화를 끊임없이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147쪽)

음악 평론가들은 자신의 일을 완전히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십수 년쯤 반복하고 있는 베토벤 교향곡 연주 리뷰는 복원이 어려운 휴지통에 넣는 편이 좋겠다. 작곡가의 생애와 작곡 배경을 친절하게 반복할 게 아니라 곡이 연주 혹은 녹음된 공간의 조건, 감상자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며 젊은 연주자의 몸을 통과한 음악 조각들을 새로이 관찰해야 한다.(149쪽)

음악은 점점 감정과 느낌, 정서, 분위기, 촉각을 자극하는 무언가로 그 모습과 개념을 바꾸고 있다. 하나의 예로 시티 팝이나 앰비언트 뮤직, 라운지 음악 같은 특정 공간을 떠올리게 하는 음악 장르를 들 수 있다. 이는 음계나 조성 같은 음의 체계, 작품의 형식이나 구조 등 내재적 요소에 따라 장르를 구분하고 특징을 규정짓던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다.(149-150쪽)

리스트를 플레이하는 건 음악만이 아니다. 팬데믹 이후 우리는 이제 극장에 찾아가 잘 차려진 한 끼 식사 같은 영화를 관람하는 대신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차린 뷔페를 펼쳐 두고 자신의 감각을 깨우곤 한다. 조금 전 확인한 왓챠의 메인 화면은 ‘안타까운’ ‘잔잔한’이라는 해시태그 키워드로 각기 다른 리스트를 제공한다.(156쪽)


차례

서문: 「베이비 드라이버」에 대한 단상, 그 일렁임

플레이리스트 문화의 탄생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플레이리스트가 만드는 일상적 음악 경험의 변화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오가는 주체
가만히 듣기만 하는 예의 바른 존재, 감상자 미디어의 음악적 관여
감상자의 몸

둘러 입는 음악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김호경 — 듣고, 쓴다. 음악을 위한 글을 쓴다. 클래식 음악 전문 기자로 일하며 다수의 매체에 글을 썼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를 통해 음악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연구했다. 현대 감상 환경에서의 클래식 음악 세계를 그린 에세이 『아무튼, 클래식』을 썼다. 김윤아 「나인 너에게」,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Your Light」, 하성운 「Think of You」, 승희(오마이걸) 「Dear My Nights」 등의 가사를 썼다.


편집

박활성

디자인

김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