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예술

News from Nowhere: A Platform for the Future, and Introspection of the Present

  • 문경원
  • ,
  • 전준호 지음
145 x 215밀리미터 / 416쪽 / 사철 하드커버 / 영문 / 2012년 5월 26일 / ISBN 978-89-94207-14-8 03600 / 절판
  • 최재천
  • ,
  • 이창동
  • ,
  • 조정환
  • ,
  • 토요 이토
  • ,
  • 이에무라 카요코
  • ,
  • 이마무라 유사쿠
  • ,
  • 타크람
  • ,
  • 고은
  • ,
  • 에릭 쿠
  • ,
  • 한스 올리히 오브리스트
  • ,
  • 김형진
  • ,
  • MVRDV
  • ,
  • 크리스토퍼 도브라이언
  • ,
  • 토시 이치야나기
  • ,
  • 홍철기
  • ,
  • 미산
  • ,
  • 문경원
  • ,
  • 츠무라 코스케
  • ,
  • 정구호
  • ,
  • 정재승
  • ,
  • 유진규
  • ,
  • 정상문 글, 인터뷰, 공동 작업
  • ,
  • 미디어버스
  • ,
  • 이성희
  • ,
  • 박활성 편집
  • ,
  • 김형진 디자인
  • 카셀도쿠멘타
  • 현대미술

『News from Nowhere』(영문)는 미래에 관한 책이다. 기후, 자연환경, 사회, 경제, 국가, 종교, 미술 등 모든 것이 급변하는 오늘날 미래란 무엇인지 묻는 책이다. 이 책에 실린 글과 인터뷰, 작업들은 하나의 전형이자 우리 시대의 특수한 조건으로서 종말, 즉 세상의 끝을 이야기한다. 저마다 자신의 방식으로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의 모습을 그려본다.

책의 모태가 된 New from Nowhere 프로젝트는 문경원, 전준호 두 작가의 제언으로 시작되어 지난 2년간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동시에 진행되어왔다. 하나는 작가들이 설정한 미래, 즉 모든 사회의 가치와 질서가 사라져버린 시대 예술의 의미를 묻는 영화 “엘 핀 델 문도(El Fin del Mundo, The End of the World)”를 만드는 과정이 그것이다. 이정재, 임수정이 주연한 이 영화를 위해 작가들은 세계적인 건축가, 디자인 그룹, 패션 디자이너, 과학자들과 협업하며 미래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해나간다. 예를 들어 건축 그룹 MVRDV은 온난화로 대부분의 대지가 수면 아래로 잠긴 시대의 주거 시스템을, 디자인 그룹 타크람은 수분 섭취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체 장기로 변신한 미래의 물병을, 패션 디자이너 코스케 츠무라와 구호는 미래의 유니폼을 만들었다.

한편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지기 위해 출발한 New from Nowhere는 문학, 과학, 인문, 종교 등으로 경계를 넓혀 각 분야의 석학들을 찾아 대화를 나누거나 글을 통해 사회 전반을 성찰하고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플랫폼으로서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는 최재천, 고은, 이창동, 조정환, 정재승 등이, 해외에서는 토요 이토,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크리스토퍼 도브리언, 토시 이치야나기 등이 참여했다. 이 책은 영어로 출판되어 영화 및 협업자들의 작업과 함께 2012년 독일 카셀에서 열린 도큐멘타 13에서 첫 선을 보였다.

1890년, 시대의 몽상가이자 사상가, 실천가였던 윌리엄 모리스는 자신이 살던 시대로부터 250년 후 런던의 모습을 꿈꾸고 돌아와 『News from Nowhere of An Epoch of Rest, Being Some Chapters from a Utopian Romance』를 저술했다. 닷새 간의 꿈속 여행에서 윌리엄 게스트(소설 속에서의 이름)가 본 미래의 모습은 모든 빈곤과 불평등이 해소된 채 노동에서 기쁨을 느끼며 살아가는 전원적인 공동체였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는 그의 시나리오에 동의할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여정의 끝자락에서 윌리엄 게스트는 소박한 마을 잔치에 초대 받는다. “햇볕 속의 튤립 화단”과 같은 아름다운 남자와 여자들 사이에 기꺼운 마음으로 서 있던 그는 순간, 모든 사람들이 그를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느끼고 전부터 예감해온 끔찍한 일이 현실이 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윽고 암흑 속을 헤매다 침대에서 일어난 그는 깨닫게 된다. 모든 것이 꿈이었음을. 미래를 향한 여정이 이제 막 시작되었음을. 이 책 역시 그 여정에 동참하고자 한다.


영화 시놉시스 및 스틸컷

문경원, 전준호 감독
「세상의 저편」 임수정, 이정재 출연

차례

Editor’s Note: A Hard Journey to the Future

최재천 CHOE Jae chun / A Committee for the Annals of Homo sapiens
이창동 interview with Lee Changdong / A Flower & Struggle Part I
문경원, 전준호 MOON Kyungwon & JEON Joonho / El Fin del Mundo (The End of the World)
조정환 JOE JEONGwhan / Between Cognitive Capitalism & Disaster Capitalism: Fukushima
토요 이토 TOYO Ito / Home for All: The Restoration of Publicness & a Great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e
카요코 이에무라 Kayoko Iemura / Three Visions from Far Site
유사쿠 이마무라 Yusaku Imamura / Towards New Commons: New Technology for Constructing New Communal Space
타크람 디자인 엔지니어링 Takram design engineering / Shenu: Hydrolemic System
고은 interview with KO Un / A Flower & Struggle Part II
에릭 쿠 Eric khoo / The Fear of the Times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Hans-Ulrich Obrist, Interview with Andrea Zanzotto / A Protest Against Forgetting
MVRDV & 더 와이 팩토리 MVRDV & THE WHY FACTORY / I-CITY
크리스토퍼 도브라이언 Christopher Dobrian / The World without Music
토시 이치야나기 Toshi Ichiyanagi / Endless Avant-garde
홍철기 HONG Chulki / Graphic Score & Beyond: The Political Aesthetics of Experimental Music in the Post-Cagean Age
미산 interview with Misan / Moving Upstream: The Future of the Lost Religion
코스케 츠무라 Kosuke Tsumura / Final Sync: Prototype Uniform
정구호 JUNG Kuho / Uniform
정재승 interview with JEONG Jaeseung / LUCIS: Mind Light for the New World

저자 소개

문경원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와 미국 칼아츠에서 미술 공부를 했고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0년 서울 갤러리현대와 2007년 성곡미술관, 2004년 일본 후쿠오카 시립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2012년 광주비엔날레와 카셀 도큐멘타(13), 2010년 독일 보쿰 미술관, 터키의 이스탄불 미술관 「A Different Similarity」, 도쿄 원더 사이트 「Silent Voice」, 2008년 난징 트리엔날레와 백남준미술관 「Now Jump」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건축가 안도 타다오와 제주도 ‘Genius Loci’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한 한편, 서울 스퀘어의 미디어 캔버스 프로젝트 등 여러 퍼블릭 아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1999년 석남미술상과 2012년 광주비엔날레 대상인 ‘눈 예술상’,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전준호
부산에서 태어나 동의대학교 미술학과와 영국 첼시 미술대학원에서 미술 공부를 했다. 2009년 동경의 스카이 더 바스하우스, 2008년 파리의 테디우스 로팩 갤러리와 한국의 아라리오 갤러리, 그리고 2007년 뉴욕의 페리 루벤스타인 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2012년 광주비엔날레와 카셀도큐멘타(13), 2011년 요코하마 트리엔날레, 2009년 LACMA와 휴스턴 미술관에서 「YOUR BRIGHT FUTURE」와 파리의 에스파세 루이비통에서 「Metamorphosis」, 2007년 동경 모리 미술관에서 「All About Laughter」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2004년 광주비엔날레 비엔날레상과 2007년 루불라냐 그래픽 비엔날레 대상, 2012년 광주비엔날레 대상인 ‘눈 예술상’,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related books

  • 미지에서 온 소식
    문경원,전준호
    예술
    2012
    최재천,이창동,조정환,토요 이토,이에무라 카요코,이마무라 유사쿠,타크람,고은,에릭 쿠,한스 올리히 오브리스트,MVRDV,크리스토퍼 도브라이언,토시 이치야나기,홍철기,미산,츠무라 코스케,정구호,정재승,유진규,정상문,박활성,강경탁
    카셀도쿠멘타, 현대미술
  • 1:1 다이어그램: 큐레이터의 도면함
    현시원
    예술
    2018
    박활성,황석원
    글쓰기, 큐레이터, 현대미술
  • 1002번째 밤: 2010년대 서울의 미술들
    윤원화
    도미노 총서
    예술
    2016
    박활성,홍은주,김형재
    서울, 현대미술
  • Promise Park
    문경원,YCAM
    예술
    2017
    박활성,김형진
    현대미술
  • 강태희,박화영,남화연,윤재연,임민욱,김지운,도윤희,이명세,정연두,유비호,문경원,이창동,전준호
    책 속의 미술관
    예술
    2011
    김형진
  • 공항
    강태희,홍승혜,임자혁,박화영,전준호,이수경,안규철,김을,황혜선,노석미,김태헌,문성식,박병춘,임민욱
    책 속의 미술관
    예술
    2010
    김형진
    현대미술
  • Bubble Talk
    문경원
    라이카
    예술
    2008
    김형진,김아해
    현대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