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를 1위 히트곡의 주인공 자리로 안내할 단계별 가이드
1987년 봄, 저스티파이드 앤션트 오브 무 무(The Justified Ancients of Mu Mu, The JAMs, KLF의 다른 이름 중 하나)의 정규 데뷔 앨범이 발매됐다. 음반 뒷면에는 황금 시간대 TV 방송의 소리를 거칠게 잘라 붙인 샘플 덩어리가 담겨 있었다. 그중 절정은 「톱 오브 더 팝스(Top of the Pops, 영국의 음악 차트 TV 프로그램)」의 인기 차트 소개 부분이었다. 1위를 발표하는 부분에 다다르자 사회자의 목소리는 누군가의 고함에 뒤덮였다. “지랄 말고 잼스나 내놔!” 그로부터 1년 뒤, 타임로드(The Timelords, KLF의 또 다른 이름 중 하나)는 차트 1위를 거머쥐며 실제로 「톱 오브 더 팝스」에 출연한다. 영국의 SF 드라마 시리즈 「닥터 후(Doctor Who)」에 영감을 받은 1위 곡 「닥터린 더 타디스(Doctorin’ The Tardis)」는 더없이 순수하면서 매력적인 팝 음악 자체로 평가받았다.
약 3분 36초 동안 정교하게 등장하는 가사 또한 더없이 순수하면서 매력적이었다. “닥터 후, 헤이 닥터 후, 닥터 후, 타디스에 탄 닥터 후, 헤이 닥터 후, 닥터 후, 닥, 닥터 후, 닥터 후, 닥, 닥터 후…”
“아름다운 실용의 세계”를 좇는 워크룸 ‘실용 총서’는 2018년 이래 군사(전쟁) 및 비즈니스(『생활 공작』), 패션(『헤비듀티』)에서의 실용에 주목해왔다. 특히 『생활 공작』은 2018년 말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 회의에 등장한 미국 중앙정보국(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의 조직을 망가뜨리는 방법에 관한 기밀 해제 문서의 한국어판으로 알려지며 일찍이 그 실용성을 입증한 바 있다. ‘실용 총서’의 세 번째 책 『히트곡 제조법: 최대한 쉽게(The Manual: How to Have a Number One The Easy Way)』가 주목하는 분야는 ‘음악’이다. 제목처럼, 다름 아닌 히트곡 제조법, 그것도 별다른 자본 없이, 최대한 쉽게.
이 책이 출간된 것은 1988년, KLF가 실크 해트와 망토에 기타를 들고 「닥터린 더 타디스」로 「톱 오브 더 팝스」의 1위 무대를 성공적으로 장식한 뒤였다. 자신이 만든 음악이 전국 방방곳곳에 울려퍼지는 것. 그들은 모든 창작자의 순수한 염원을 이룩하기까지의 여정을 이 책 한 권에 응축했다. 그렇게 기획, 작곡, 자금 대출, 제작, 홍보 등 1위 히트곡을 만드는 데 따지고 거쳐야 할 (거의) 모든 단계를 하나하나 안내하는 한편, 우상숭배를 품은 조언과 함께 자신들이 경험한 음악 산업과 주변부의 난삽한 민낯을 폭로한다. KLF는 독자가 지금 실업급여를 받는 신세일지라도, 게다가 음악을 만들어본 경험이 없더라도 자신들의 지시 사항을 “글자 단위로” 따르기만 한다면 적어도 3개월 안에 1위 히트곡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공언했다. 이는 지금도 유효하다. 책이 머물러 있는 1980년대가 30여 년이 흐른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은 까닭이다.
모든 실용서는 예상 질문에 대한 답이다. 음반 사업을 시작하기에 적절한 레이블명과 그룹명은? 당장 필요한 악기와 장비는? 적절한 녹음실을 찾아내는 방법은? 녹음실 실 이용료를 깎는 협상에서 성공하려면? 엔지니어를 다루는 방법은? 히트곡의 적절한 길이와 속도와 구성은? 클리셰를 적절히 이용하는 방법은? 남이 만든 음악을 효과적으로 훔치려면? 즉, 편집으로서 창조를 이룩하려면? 전 국민에게 바로 와 닿을 만한 가사를 찾아내 정확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성공한 뒤에 취해야 할 태도는? 책은 이런 예상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가득하다. KLF 멤버 중 한 명인 빌 드러먼드(Bill Drummond)는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누군가 당신을 알아봐줄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그냥 해!” 즉, 독자는 일단 “아무 일요일 저녁에나 시작”하면 될 일이다. 게다가 꿈 또는 미련은 있되 실업급여를 받는 상황이라면 남들보다 출발선에서 몇 걸음 더 앞에 있는 셈이다.
이 책의 실용성
이 책은 출간한 이듬해에 재판을 찍고, 10여 년 동안 독일어와 체코어 등으로 번역됐다. 그 사이 책의 실용성은 이미 여러 창작자를 통해 입증됐다. 오스트리아의 댄스 밴드 에델바이스(Edelweiss)는 이 책을 참고서 삼아 「내게 에델바이스를(Bring Me Edelweiss)」를 전 세계적으로 500만 장 이상 팔아치웠다. 아바(Abba)의 「SOS」를 이리저리 이용한 곡이었다. 첨바왐바(Chumbawamba)의 보프 웰리(Boff Whalley)는 『레디메이드(Readymades)』의 속지 사진(이 책으로 추정되는 책의 사본을 읽고 있다.)을 통해 이 책에 대한 존경심을 드러냈다. 평자들은 이 책이 「터브섬핑(Tubthumping)」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사실에 대한 은유로 추측하기도 했다. 영국의 대표적 댄스 펑크 밴드인 클랙슨(Klaxons)의 제이미 레이놀즈(Jamie Reynolds) 또한 자신들은 그저 이 책의 지시 사항을 따랐을 뿐이라고 고백했다. ‘팝 머신(Pop Machine)’이라는 개념을 탐구하는 피펫(Pipettes)이 결성된 계기도 이 책을 통해서였다. 음악가뿐일까? 익명을 요청한 한 미술가는 이 책에 ‘산업’을 재료로 삼는 최근 현대 미술 경향의 요체가 담긴 듯하다고 밝혔다.
한국어판 부록
한편, KLF는 음반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람들은 비주얼에 너무 신경을 쓴다. 생난리를 친다. 아주 목숨을 건다. 한 아티스트가 사용하는 비주얼은 그 추종자들이 자신을 투영하는 어떤 ‘애티튜드’를 형성하는 데까지 이른다.” 『청소하면서 듣는 음악』을 통해 음악에 대한 애호를 드러낸 그래픽 디자이너 이재민은 한국어판 부록 「히트 음반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통해 이 구절에 실용적으로 화답했다.
워크룸 실용 총서
과거에는 실용이었으나 오늘날 실용만으로 기능하지 않는, 과거에는 실용이 아니었으나 오늘날 실용으로 기능하는 자료를 발굴합니다. 실용을 곱씹게 하는 현대인의 교양 총서를 자처합니다. 아름다운 실용의 세계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추천사
“1980년대 영국의 음악 산업을 냉소적으로 꼬아 표현한 지은이들과 이를 현대적으로 친절하게 해석한 옮긴이 주의 앙상블은 케이팝의 지금을 비추는 거울로 참고하기에 손색이 없다. 단, 비밀의 레시피를 들춘 뒤에는 그 대가를 치러야만 할 테다. 이 책은 단순한 실용서가 아닌, 해학과 풍자가 넘치는 한 편의 고전이다.”
— 황현(작곡가, 모노트리 대표)
“어젯밤에 헤어진 동료가 쓴 듯한 문장들. 이 책은 히트곡 하나 없는 무면허 프로듀서인 내게 정말이지 유익한 참고서다. 장르를 불문하고, 안전장치 하나 없이 롤러코스터를 탄 채 방황하는 수많은 창작자에게 권한다. 오늘밤에 열릴 당신 공연이 어떻게 되든 남탓은 하지 말라는 말과 함께.”
— 말립(프로듀서, 360 사운즈, 퍼피 라디오)
서문
시작은 아무 일요일 저녁에나
레코딩 스튜디오
월요일 오후: 스튜디오 예약
돈
은행: 아주 실질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월요일 저녁
화요일 아침
화요일 오후 1시가 지나면
황금률
캐주얼하게, 아주 약간은 신비롭게
금요일 아침
주말
일요일 밤
24트랙 스튜디오에서 닷새를
목요일 아침
런던
4주차
5주차
발매일 초읽기
플레이 리스트
덧붙이는 글
옮긴이의 글
히트 음반 디자인 체크리스트 / 이재민
저역자 소개
KLF
빌 드러먼드(Bill Drummond)와 지미 코티(Jimmy Cauty)가 1987년에 결성한 영국의 2인조 음악 그룹이다. 잼스(JAMs), 타임로드(Timelords) 등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해왔다. 힙합의 영향권 아래 애시드와 앰비언트 하우스 성향의 음악을 선보이며 1990년대 초까지 다수의 히트곡을 냈다. 1993년 전격적 은퇴를 선언한 뒤 K 파운데이션(K Foundation)을 설립해 전방위적인 예술 활동을 이어갔다. 100만 파운드의 현금을 불태우는 등 대중을 경악하게 한 상황주의적 해프닝을 연달아 벌이고, 대중음악의 통념과 신화를 부수는 행보로 컬트적 지지를 누렸다.
미묘
앰비언트 음악가 겸 대중문화 평론가 겸 음악 웹진 『아이돌로지(Idology)』 편집장이다. 프랑스 파리 8대학 및 대학원에서 음악학을 전공했다. 2012년 음악 웹진 『웨이브(weiv)』 필진으로 시작해 다수의 매체에 케이팝 아이돌에 관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아이돌리즘: 케이팝은 유토피아를 꿈꾸는가』가 있다.